요약
이 문서에서는 실제 세계에서 색상이 정의되는 방법을 다룹니다. 다음 색상 공간 기사에 대한 배경 자료로 설계되었습니다.
Q100328: 컬러스페이스란 무엇입니까?
Q100319: Nuke 에서 색상 공간을 사용하는 방법은 무엇입니까?
Q100327: Nuke 의 내부 "색상 공간"은 어떻게 작동합니까?
추가 정보
색상 인식
물체의 색상은 카메라 센서이든 생물학적 눈이든 그것을 관찰하는 수용체에 닿는 빛의 색상에 따라 결정됩니다. 빛의 색상은 일반적으로 아래 다이어그램에 표시된 것처럼 파장으로 측정됩니다.
이 다이어그램은 특정 색상의 전체 강도를 보여 주므로 빨간색의 희미한 버전인 분홍색과 같은 색상의 변형을 얻을 수 없습니다. 이를 스펙트럼 색상이라고 합니다.
색상을 측정할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은 컴퓨터 응용 프로그램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색조, 채도 및 밝기를 사용하는 것이며 아래에 설명된 Musell 색상 시스템으로 설명됩니다.
Musell 색상 시스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http://hyperphysics.phy-astr.gsu.edu/hbase/vision/colsys.html#c1
빛의 파장을 사용하는 것은 물리적 세계의 색상 스펙트럼을 설명하는 데 유용하지만 인간의 눈은 가시광선이라고 하는 이 중 작은 부분만 볼 수 있습니다. 이를 처리하는 인간 눈의 수용체는 막대 및 원뿔 수용체 세포입니다.
인간의 눈에는 대략 1억 2천만 개의 간상세포가 있는 반면, 원추세포는 대략 600만~700만 개에 불과합니다.
위 다이어그램은 또한 눈 내의 간상체와 원추체의 밀도를 보여줍니다. 원뿔 밀도가 가장 큰 중앙 부분을 중심와(fovea)라고도 합니다.
로드는 저조도/주변 시야에 사용되며 콘과 비교할 때 색상과 디테일이 그다지 정확하지 않습니다. 추체는 눈의 색 감도를 제공하며, 64%는 빨간색(장) 파장에 사용되고, 32%는 녹색(중간) 파장에, 2%는 파란색(단) 파장에 사용됩니다.
아래 그래프는 다양한 원뿔 세트가 빛의 파장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보여줍니다.
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http://hyperphysics.phy-astr.gsu.edu/hbase/vision/rodcone.html#c3
색도 다이어그램 생성
원뿔이 다양한 빛의 파장에 얼마나 민감한지 차이가 있기 때문에 우리는 전체 색상 스펙트럼을 동일하게 인식하지 못합니다. 이를 알면 인간의 눈으로 볼 수 있는 시각적 스펙트럼의 지도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.
국제 조명 위원회(CIE)(Commission Internationale de l'Eclairage로 약칭)는 1931년에 이러한 지도를 만들었습니다. 이는 눈의 단, 중, 장 반응을 순수한 검정색 지점에서 무한대로 밝은 지점까지 3D 공간에 투영하여 수행되었습니다. (휘도), 아래와 같이:
생성된 원뿔의 단면은 인간의 눈과 비교하여 상대 색도(밝기와 무관한 색상의 품질)를 측정하는 표준이 되었으며, 그 결과 아래와 같은 다이어그램이 생성되었습니다. 이 다이어그램에서 곡선 주위의 숫자는 빛의 파장입니다.
이 특별한 예(가장 일반적인 것으로 보임)는 중심와(눈에 촘촘하게 밀집된 원뿔로 구성된 작은 중앙 구덩이)의 각도 분리를 2도로 테스트했으며, 1964년에도 10도로 테스트를 수행했습니다.
색도 다이어그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https://web.archive.org/web/20190318020837/http://www.efg2.com/Lab/Graphics/Colors/Chromaticity.htm
https://en.wikipedia.org/wiki/Color_model
http://hyperphysics.phy-astr.gsu.edu/hbase/vision/colper.html#c1
우리는 문제로 불편을 끼쳐 드려 죄송합니다
이유를 알려주세요